실제 경험담을 적용한 금융정보

비고스키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영유아수학교육에의 시사점을 기술하시오.

카테고리 없음

자료 공유 드립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쓰셔도 되구요.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하트) 한번, 댓글 한번 부탁드립니다.

이것저것 눌러 주셔도 좋습니다. ^^



재미난글 있는곳 아래 클릭



https://hotpoint100.tistory.com/242







과목명 : 아동수학지도

 

주제 : 비고스키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영유아수학교육에의 시사점을 기술하시오.

 




목차

1.서론

1.비고츠키 (1896. 11. 17. ~ 1934. 6. 11.)

2.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2.본론

1.Vyt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2.비고스키의 사회적구성주의 이론의 주요 특성

3.외적 활동의 내면화 (Internalization of external activities)

4.인지 발달에 있어서 언어의 역할

5.학습과 발달의 관계

6.근접발달영역에서의 지식 구축

7.사회적 구성주의의 교육적 시사점

 

3.결론

1.영유아수학교육에의 시사점

 

 

 

 

 

1.서론

 

1.비고츠키 (1896. 11. 17. ~ 1934. 6. 11.)

비고츠키는 벨라루스 보르샤(Belarus Borsa)의 유복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차별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부모님이 유대인으로서 풍부한 문화, 지적인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비고츠키의 성장배경은 나중에 그의 사회인지론에 반영되었다. 모스크바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전공하다가, 재학 중 러시아 혁명을 경험한 그는 대학 시절에 철학, 사회과학,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광대한 영역의 지식을 익혔다. 이는 훗날 그의 심리학 연구에 기초가 되었다. 1918년 대학을 졸업한 뒤 고멜(Gomer)로 돌아가 교직에 종사하면서 학문을 계속한 비고츠키는 1925년에 예술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art)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24년부터 1934년까지는 모스크바 실험심리연구소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활동을 해 나갔다. 그는 10년 정도의 짧은 연구활동 기간에 발달심리학 분야를 시작으로 폭넓은 분야에서 수많은 실험적 · 이론적 연구를 하다가 37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그에 의하면 정신활동은 특정한 사회에서 공유 · 축적된 도구를 매개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서도 사고를 직접적으로 매개하는 언어를 중시하였다. 또한 발달은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타인을 모방하고 이를 내면화하면서 고등정신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 아이가 어른과 대화를 하는 가운데 어른이 사용하는 언어를 모방하면서 점차 독자적으로 자신의 사고를 매개할 수 있는 과정을 발달로 파악한 것이다. 이를 정신활동의 정신 간 기능으로부터 정신 내 기능으로의 이행이라고 불렀다.

 

아이가 어른과의 공동 활동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수준과 아이 혼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의 수준 사이에는 간격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근접발달영역이다. 이 영역에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질 때 개입효과가 크다. 요컨대 그는 교육이 발달을 촉진하고 선도하는 것으로 보아, 성인에 의한 교육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개체는 애초부터 사회적 존재이며, 외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형성된 언어활동이 내면화(사적 언어의 획득)됨으로써 개인의 독립적인 활동이 영위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비고츠키의 이론은 발달을 자생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피아제(Piaget) 교육론을 비판하는 입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요약]

외적 활동의 내면화(Internalization of external activities)

외적인 사회적 활동을 내적으로 재구조화한 것. 아동의 발달은사회의 여타 구성원과 아동과의 협동적 활동의 결과이다. 사회적으로 바탕을 둔 인지발달은 사람들 사이로부터(interpsychological) 개인 내부로(intrapsychological) 변화된다.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사회적 형태가 심리적인 학습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이 일어나는 영역. 적절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아동의 발달이 발생하는 영역. 아동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의하여 결정되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성인이나 다른 동료 학습자의 지원에 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차이이기도 하다.

사회적 탐구 수업 모형(Social Inquiry Instruction Model)

비고스키의 근접 발달 영역 내에서 비계설정(scaffolding)의 진행과정으로서 네 가지 단계로 구성된 교수 모형. 네 가지 단계는 다른 사람에게 의존의 단계, 다른 사람과의 협력의 단계, 자신에게 의존하는 단계, 그리고 내면화 단계이다.

 



2.본론

 

1.Vyt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Vygotsky(1962, 1978)는 모든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하여 습득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성인이나 보다 유능한 또래가 유아의 경험에 매개적인 역할, 즉 유아의 환경을 조직하고, 사태들(events)을 해석하고, 의미화하며, 경험의 적절한 차원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지시하며, 문제해결의 과정을 적절히 통제하는 방법을 보여 줌으로써 유아의 정신적 기능의 습득을 도와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Vygotsky는 유아의 경험에 성인이나 더 유능한 또래가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듯이, 유아의 지식은 사회적으로 전수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 외에도 성인이나 더 유능한 또래가 유아와 함께 인지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인지적인 처리 과정을 서로 나타내 보이며, 실행해 봄으로써 유아가 현재 가지고 있는 정신적인 기능의 양식을 수정해 나가도록 돕는다.

 

셋째는, 학습과 발달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Piaget는 발달이 선행되고, 선행된 발달이 학습을 제한하고 허용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즉 특정의 인지적 과업이 유아의 인지적 발달 수준과 심한 격차(disparity)가 있으면 학습은 결코 일어 날 수 없으며 유아는 인지적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VygotskyPiaget와는 정 반대의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학습의 결과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Vygotsky가 이러한 신념을 가지게 된 것은 유아가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과 성인이나 더 유능한 또래와 함께 협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 사이에 차이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은 이미 발달이 완성된 것이며, 사회적인 지원을 받아 가면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은 현재 발달이 진행 중이며, 곧 내면화의 과정을 거쳐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능력이다. 이 둘 간의 차이를 Vygotsky근접 발달 영역이라 부르고, 이 영역은 학습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인지적 능력은 사회와는 별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생득적인 것도 아니며, 수동적인 동화(assimilate)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다. 유아의 인지적 능력은 사회적인 상호 작용의 결과라는 것이다

 

2.비고스키의 사회적구성주의 이론의 주요 특성

1)비고스키 이론의 기본 전제

미 항공우주국의 교육부서에서 개발한 탐구형 웹사이트로서 사회적 탐구 수업 모형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네 가지 단계와 활동을 경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행성 사이를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탐구 학습 경험을 하게 된다.

기존 구성주의의 일반적 특성: Piaget (1952)

 

아동과 환경의 적극적인 상호작용 중시

 

인지적, 심리적 발달은 여전히 학습자 내부 중심

대안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자 (아동)의 내적인 자기 발달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도구 (mediating tools)의 존재 가능성 탐색

 

매개적인 도구: 언어, 모델링, 외적 요인들

Vygotsky (1978, 1992)의 아이디어

사회적 인지 이론 (Socio-cognitive theory)

인간의 다양한 발달과 학습 (사회적 특성, 의사소통 스타일, 성격, 인지적 능력, 언어 스타일, 지적 배경 등)은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내에서 사회적, 문화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일어난다.

 

3.외적 활동의 내면화 (Internalization of external activities)

 

내면화의 정의

외적인 사회적 형태를 내적으로 재구조화하는 것

아동의 발달은 개인 내부에 대한 탐구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개인의 삶이 발달하는 외적, 사회적, 역사적 세계를 검토하여야 한다.

아동의 발달은 사회의 여타 구성원과 아동과의 협동적 활동의 결과

사회적으로 바탕을 둔 인지 발달

사회적 측면: 사람들 사이 (inter-psychological)

심리적 측면: 개인적 측면 (intra-psychological)

 

내면화의 과정

외적 활동의 수동적 전이가 아니라, 성인에 의하여 부가된 외적활동이 많아지면서 적극적으로 내적 지식을 재구조화하고, 재조직화함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회적 형태를 심리적 수준에서 내면화함

 

4.인지 발달에 있어서 언어의 역할

 

내면화 과정에서의 언어

내면화 과정은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음

사회적 수준에서 심리적 수준으로 형태에 대한 지각의 전이가 마음이라는 도구(tools of mind)에 의하여 매개됨

언어는 마음의 한가지 도구

인간의 언어 발달

Piaget (1926): 초기 언어 발달은 자기중심적 언어

 

문제 해결할 때 스스로에게 말을 하는 현상

복잡한 문제일수록 더 많은 말을 하고, 계획을 하게 됨

Vygotsky: 자기중심언어의 발달이 두 가지 변형으로 발달

 

외적 언어: 의사소통의 도구가 됨_ 언어

내적 언어: 사고와 계획 설정의 도구가 됨_ 사고

5.학습과 발달의 관계

Piaget 관점에 대한 비판

Piaget: 학습은 발달과 별개이며, 학습은 발달을 위한 조건이다.

Vygotsky: 발달은 항상 학습을 위한 사전 조건이며, 아동의 지적 기능이 특정한 학습을 할 정도로 발달이 되어 있지 않으면, 어떠한 수업도 유용하지 않을 것이다.

행동주의에 대한 비판

 

학습이 발달이다, 학습을 일련의 습관으로 간주

습관이 학습되면 발달이 발생한다.

학습은 발달의 기초를 제공하는 조건화된 반사를 획득하는 것

Vygotsky: 학습과 발달의 관계는 역동적 과정이다.

 

수업 (instruction)과 학습에 의하여 발달이라는 심리적 기능이 일어난다.

외적 환경의 차원에서 수업이 제공되면, 성숙의 과정에 있는 기능이 발달하게 된다.

마치 나무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온도, 햇볕, , 영양분 등)이 필요한 것과 유사합니다. 아동의 발달은 아동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한다.

 

발달 과정에 있는 기능: 나무의 경우, 꽃보다는 꽃봉오리에 해당

수업에 의하여 이러한 꽃봉오리를 꽃으로 되게 한다.

학습에 의하여 발달의 초기 상태에 있는 기능들을 성숙하게 한다.

수업은 발달의 바로 앞 단계에서 일어날 때만이 효과적이다.”

6.근접발달영역에서의 지식 구축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사회적 형태가 심리적인 학습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이 일어나는 영역 (Vygotsky, 1978)

언어 도구를 활용하여 사회적 특성, 의사소통 유형, 성격, 인지 능력, 언어적 유형과 같은 지적 능력이 외적 활동으로부터 내적, 심리적 지식으로 변화되는 과정이 발생하는 영역

적절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아동의 발달이 발생하는 영역

학습과 발달의 관계가 출생부터 시작하여 학령기 및 그 이후에도 지속

학습과 발달이 두 수준에서 발생

 

아동 자신의 능력 안에서 발생하는 경우

적절한 환경과 지원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경우-->상위 단계들(잠재적 발달 영역)은 주위의 도움 없이는 힘들다.

학습과 발달의 역동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근접발달영역 개념 도입

 

근접발달영역의 정의: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의하여 결정되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성인이나 다른 동료 학습자의 지원에 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간의 차이

 

7.사회적 구성주의의 교육적 시사점

1)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수업 모형에 대한 시사점

구성주의 학습 환경의 초점

환경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적 효과에 대한 관심

Vygotsky 이론에 기반한 모형

인지적 도제 (Collins, Brown, &Newman, 1989)

전통적인 도제식 방법(. 기술 분야에서의 장인)의 장점을 수용 -->전통적인 수업

창의적, 반성적 사고와 문제해결과 같은 고등정신 기능 학습

인지적 도제 학습환경과 하위 영역

 

2) 사회적 탐구 수업 모형

Vygotsky의 관점

인간의 발달과 학습은 도구의 매개에 의하여 사회적, 문화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

근접발달영역이 일종의 사회적 상황이 발생하는 하나의 수업 단위가 될 수 있음

사회적 탐구 수업 모형의 단계

 

1) 지적으로 도전적인 문제 상황에 직면: 예컨대, 번개에 대한 영상을 보여준 후, 번개의 원인을 찾는 것

지적인 대면 상태에서 문제를 정의 내리고, 가설을 설정하게 됨

가능한 대답과 가설의 검증을 위한 일련의 질문을 도출하게 됨

2) 교사와 학생들이 상호작용하며, 협동하고, 의사소통 하면서 문제의 원인을 탐색함

이 때, 언어가 수업과 인지적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됨

3) 학생들이 심층 학습을 위하여 개인 연구를 하게 되고, 다른 자원, 과학자, 교사, 전문가의 도움을 찾게 되며, 도서관, 웹 및 다른 자료를 활용하게 됨

4) 교사와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답을 분석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하며, 새로운 상황에 결과를 적용하게 됨

 

수학의 모든 초기 아이디어는 주변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경험하고 관찰함으로써 길러진다. 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은 구체물을 통해서 지각하고 추론한다.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유아수학교육은 수학을 통해 유아의 발달특성과 유아가 갖고 있는 수학적 경험을 연결시켜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일이다. 유아가 수학에 대한 의미 있는 경험을 하는 것은 수학적 개념과 추론능력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발달하도록 돕는 일이다. 따라서 유아수학교육은 독립된 인격체인 유아가 스스로 주변에서 수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학내용을 추론하며, 그 문제를 해결하도록 배려하고 권장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유아수학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유아수학의 정의를 어떻게 내리느냐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수학은 왜 배워야 하는가?, 교육대상자인 유아와 수학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그 가치는 무엇인가?’ 라는 근원적인 문제부터 고찰해야 한다.

 

3.결론

1.영유아수학교육에의 시사점

유아 수학교육

수학은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특히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수학적 능력은 개인 및 국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적 능력은 직관이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한 통찰로부터 시작하여 추상적인 수학적 관계나 형식, 원리의 이해로 발달하게 되며, 유아기는 이러한 수학적 능력의 토대를 구축하는 시기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도 유아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오늘날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순한 계산능력보다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능력과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계산위주의 수학교육은 바람직하지 않다. , 유아들에게 다양한 수학적 개념을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기초적인 수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유아 수학교육의 중요성

1) 유아기는 수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를 형성하는 결정적인 시기이다.

(1) 영아들은 간단한 수의 연산과 같은 수학적 기능 및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2)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유아기에 형성된다.